gtag('config', 'G-67CW7KNL8J'); 유닛로드 시스템(ULS) class="color-gray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경영학/물류학개론

유닛로드 시스템(ULS)

반응형

 

1) 유닛로드시스템의 개념

유닛로드란 수송, 보관, 하역 등의 물류활동을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복수의 물품 또는 포장화물을 기계, 기구에 의한 취급에 적합하도록 하나의 단위로 정리한 화물

 

유닛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 ULS, 단위적재시스템)이란 유닛로드를 도입함으로써 하역을 기계화하고 수송, 보관 등을 일관하여 합리화 시키는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하역작업의 혁신을 통해 수송합리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을 일정한 표준의 중량 또는 용적으로 단위화시켜 일괄해서 기계를 이용하여 하역, 수송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2) 유닛로드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선결과제

- 수송장비 적재함의 규격표준화

- 포장단위의 치수표준화

- 파렛트의 표준화

- 운반하역장비의 표준화

- 창고보관설비의 표준화

- 거래단위의 표준화

 

 

 

3) 유닛로드시스템의 실행 효과

 

인건비 절감: 파렛트화와 컨테이너화를 함에 따라 하역작업이 각종 장비에 의해서 기계화가 되므로 많은 인력이 절감됩니다.

 

물동량의 신속화: 하역단위가 대형화되어 빠른 속도로 하역이 가능하므로 물동량의 유통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물류비용의 절감과 물류생산성이 향상됩니다.

 

작업의 표준화: 여러 종류의 물품이라 하더라도 유닛로드화 해서 화물이 획일화되어 기계작업이 적합해지고 작업의 표준화가 가능해집니다. 작업의 표준화가 가능해지면 하루하루의 작업 계획도 확실하게 실천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화물의 형태가 일정하다면 이를 취급하는 하역기계나 작업설비 또한 표준화시킬 수 있게 되어 모든 화물에 적합한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운송장비의 효율적인 이용: 트럭, 철도화차, 컨테이너, 선박 등 운송장비에 상하차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하역작업 대기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운송장비의 운행시간이 증가하여 운송비의 절감과 운송장비의 운행회전율이 향상됩니다.

 

포장비용의 절감: 물동량을 단위화된 크기로 작업하므로 포장의 간이화가 가능하게 되고, 인력작업과 비교하여 포장자재의 비용절감이 가능합니다.

 

자동화설비 및 장비의 이용 가능: 물동량을 단위화함으로써 각종 운반하역장비, 보관시설, 포장기계의 이용이 가능합니다.

적재효율의 향상: 물동량을 표준화된 단위로 규격을 설정하게 되므로 창고 내부 적재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운송장비의 적재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이서영(2023), 물류관리사를 위한 물류관리론, 두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