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ag('config', 'G-67CW7KNL8J'); 파렛트풀시스템은 무엇인가요? class="color-gray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경영학/물류학개론

파렛트풀시스템은 무엇인가요?

반응형

 

1) 파렛트풀시스템의 개념

파렛트풀시스템(PPS: Pallet Pool System)은 기업이 외부로 유출된 파렛트의 화수에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들고 수요변동 및 분실 등에 대응하여 다량의 파렛트를 준비하는데 과다한 투자비가 발생하는 점 등 파렛트화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된 제도

 

이 제도는 표준화된 파렛트에 의해 여러 화주 물류업자들이 공동으로 파렛트를 이용하는 제도로서 파렛트를 다량 확보하고 있는 풀조직이 파렛트에 대한 납품, 회수관리, 수리 등을 담당하는 파렛트 공동이용 제도입니다. 파렛트풀시스템하에서 일관파렛트화를 통하여 화주 및 유통업자의 물류비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2) 파렛풀시스템 특징

- 전국적으로 폭넓은 파렛트 집배망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 표준파렛트를 다량으로 보유하여 불특정다수의 화주에게 파렛트를 공급할 수있습니다.

- 공파렛트를 회수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습니다.

 

 

 

3) 파렛트풀시스템의 필요성

● 일관파렛트화의 실현으로 제품을 생산하여 파렛트에 적재 후 최종 소비자까지 일관운송이 가능하게 됩니다.

● 파렛트를 공동으로 사용함으로써 지역 간의 파렛트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계절적 수요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즉, 업종 간에 파렛트를 공동으로 이용하여 성수기와 비수기의 파렛트 수요변동에 대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 회수관리시스템의 구축으로 집배소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어 회수운임이 절감되고 회수관리를 원활화할 수 있습니다. 

설비자금의 절감으로 비수기에 불필요한 파렛트 비용을 절감하여 타용도 전용이 가능하므로 설비자금이 절감됩니다.

파렛트 보관관리가 불필요하고 분실률이 저하됩니다.

사회자본투자의 낭비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파렛트풀시스템의 운영방식

 

교환방식(서구방식)

- 송화주가 파렉에 적재한 화물을 국유철도에 위착하여 탁송하는 시점에 이와 교환으로 발송역 국유철도에 같은 수량의 빈 파렛트를 인도하고, 수화주 측은 도착역에서 파렛트에 적재된 화물을 인수하고 같은 수량의 빈 파렛트를 국유철도에 인도하는 시스템

 

리스.렌탈방식(호주방식)

- 호주에서 시작하여 미국, 캐나다, 일본 등에 도입한 방식으로 개별기업에서 각각 파렛트를 보유하지 않고 파렛트 풀을 운영하는 기관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규격화된 파렛트를 사용자가 소재하는 가까운 데포에 공급해주는 시스템

 

교환.리스병용방식

- 교환방식과 렌탈방식의 결점을 보완한 방식

 

대차결제방식

- 교환방식의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68년 스웨덴에서 개발한 방식

 

 

 참고문헌: 이서영(2023), 물류관리사를 위한 물류관리론, 두남.

반응형